악령들은 5G 주파수를 이용한 가상현실의 존재들로 사람들의 육과 혼을 점령한다.
크툴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툴루(Cthulhu, 혹은 Tulu, Cthulu)는 크툴루 신화의 만신전 가운데 한 자리를 차지한 가상의 존재이다. 이름은 다양하게 발음되지만 한국어권에서는 보통 ‘크툴루’로 불린다.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에 따르면, 이 이름은 인간이 발음할 수 없는 고대의 외계 언어로 된 이름이며, 러브크래프트는 크훌’흐루(KHUL’HLOO)가 본 발음에 가까울 것이라고 기록했다. 크툴루는 남태평양에 가라앉은 도시 르’리에(R’lyeh)의 지배자로, 깨어남과 함께 세계에 재앙을 가져올 사악한 신적인 존재이다.
물리적으로 크툴루는 퉁퉁 부은 인간형의 모습에 녹색 피부를 갖고 있다. 머리는 문어처럼 생겼고, 턱은 촉수로 둘러싸여 있다. 두 개의 박쥐 날개 같은 것이 등에 달려 있으며, 피부는 흐늘흐늘하고 점액질이다. 크툴루의 크기는 알려지지 않았는데, 일부는 키를 얼마든지 늘이고 줄일 수 있다고도 한다. 러브크래프트에 따르면:”조금 터무니 없는 나의 상상력이 문어와, 용과, 희화화 된 인간이 동시에 존재하는 그림을 내어놓는다고 말하면, 나는 그 본질에 충실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끈적끈적하고 촉수로 뒤덮인 머리가, 흔적만 남은 날개가 달린, 기괴하고 비늘로 싸인 몸통 위로 솟아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깜짝 놀랄 정도로 무시무시한 전체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에 지나지 않았다. 그 형체 너머에서는 거석 건축물들이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 H.P. Lovecraft, 〈크툴루의 부름〉
크툴루는 아래 《네크로노미콘》으로부터의 인용구와, 죽지 않은 그것은 영원을 존재할 수 있으나 기묘한 영겁 속에서는 죽음마저 죽을지 모른다.
“ph’nglui mglw’nafh Cthulhu R’lyeh wgah’nagl fhtagn”, 번역하면 “르’리에의 그의 집에서 죽은 크툴후가 꿈꾸며 기다린다”라는 말에서 확인된다.
어거스트 덜레스가 이름붙인 이후로 러브크래프트와 그 후배들의 저작들이 ‘크툴루 신화’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긴 하지만, 실제로 크툴루는 러브크래프트의 만신전 중에서 그나마 덜 끔찍한 존재 중 하나이며, 〈크툴루의 부름〉 외의 다른 저작에서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현재 크툴루와 크툴루 신화에 대한 것은 러브크래프트의 원작 컨셉과 많이 달라진 경향이 있다.
어거스트 덜레스의 단편들에 등장하는 크툴루는 신화 속의 신적인 존재 중 가장 강력하지도 않고, 신들의 왕도 아니다. 다른 많은 존재처럼 크툴루는 수세기를 이어온 비밀 종교에서 숭배되었고, 소설상 현재 다른 존재들의 신자보다 널리 퍼져 있고 많은 새 신도를 영입하고 있다. 크툴루 자신은 계속 르’리에에서 꿈을 꾸며 잠들어 있지만 그의 숭배자들은 그 이름을 걸고 계속 활동중이다. 이 크툴루 신도들의 비밀스런 행동은 크툴루 신화를 배경으로 한 많은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크툴루는 그들을 이용해 간접적인 영향을 계속 미친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D%81%AC%ED%88%B4%EB%A3%A8
네크로노미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크로노미콘》(영어: Necronomicon)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가상의 책이자 마법의 책(textbook of magic)이다. 《네크로노미콘》은 1924년 단편 〈개〉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그 저자 압둘 알하즈레드는 1년 앞서 단편 〈이름없는 도시〉에 인용된 바 있다. 신화 내에서 《네크로노미콘》은 옛것들과 그들의 역사, 그들을 소환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러브크래프트 사후 여러 출판사에서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제목으로 된 여러 책을 출판, 이 책이 진서인지 위서인지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켰으나 《네크로노미콘》은 러브크래프트의 상상의 산물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러브크래프트가 어떻게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제목을 떠올리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러브크래프트는 이 제목을 꿈에서 발견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러브크래프트는 이 제목은 “죽은 자의 법률에 대한 이미지” – nekros(사체), nomos(법), eikon(이미지)로 해석된다고 밝힌 바 있다. 보다 원제에 가까운 번역은 nemo(고려하다)의 동사번형에서 비롯된 “죽은 자에 대하여”일 것이다.
내용
러브크래프트는 《네크로노미콘》의 내용이나 심지어 외양에 대해서도 자세한 묘사를 남기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는 위대한 고대의 존재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리라고 추측되고 있다.
아래의 두 구절은 단편 〈이름없는 도시〉에 최초로 등장하고 〈크툴루의 부름〉에서 《네크로노미콘》 인용임이 확인되는 유일한 단편이다:죽지 않은 그것은 영원을 존재할 수 있으나기묘한 영겁 속에서는 죽음마저 죽을 지 모른다.
가상의 역사
1927년 러브크래프트는 〈네크로노미콘의 역사〉라는 가상의 역사를 기록했고, 1938년 그의 사후 발표되었다. 이에 따르면 책의 원제는 《알 아지프(Al Azif)》로, 러브크래프트에 따르면 아지프는 “아랍인들이 곤충들이 밤에 내는 소리를 악마의 울부짖음이라 칭하는 말”이다. 아랍어 Azīf는 “바람소리; 기괴한 소리 혹은 소음”을 의미한다.
〈네크로노미콘의 역사〉에 따르면 “미친 아랍인” 알하즈레드는 러브크래프트의 신화적 존재인 요그-쇼토스와 크툴루를 숭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는 예멘의 사나 출신으로, 바빌론의 유적들과 멤피스의 지하의 비밀들을 보았으며, 아라비아의 사막들을 방문하고 이렘의 지하에서 “이름없는 도시”를 발견하였다. 만년에는 다마스커스에 살며 《알 아지프》를 저술하고 738년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백주대낮의 다마스커스 거리 한복판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괴물에게 산채로 잡아먹히는 기괴한 죽음을 맞이했다.
《알 아지프》는 그 후 여러 해 동안 “그 시대의 철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그러나 은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출신의 가상의 학자 테오도로스 필레타스에 의해 950년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제목으로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여러 실험자들로 하여금 끔찍한 시도를 하게끔 만들었으며, 결국 총대주교 미가엘에 의해 금지되고 불태워졌다.” (총대주교 미가엘은 1059년 사망한 역사적 인물이다.)
탄압을 거친 끝에 《네크로노미콘》은 비밀스럽게 공유되다가 덴마크의 학자 올라우스 보르미우스에 의해 1228년 번역되었다. (현실의 보르미우스는 1588년에서 1624년까지 살았다.) 이 책은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에 의해 1232년 금서로 지정되었으나 15세기와 17세기에 각각 독일과 에스파냐에서 재간되었으며, 그리스어본은 16세기 초에 이탈리아에서 인쇄되었다. 영국의 마법사 존 디 (1527년-1609년)는 이 책을 영어로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영문본은 인쇄되지 않았고 오직 단편들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러브크래프트에 따르면 아랍어 원본은 1050년에 그리스어판이 금지되기 전에 이미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20세기 중에 샌프란시스코에 비밀스런 사본이 등장했다가 불타 사라졌다는 루머가 돌았다고 기록하였다. 그리스어본은 세일럼의 한 주민의 도서관에서 1692년 불타 사라진 이후 등장하지 않고 있다.
사본
러브크래프트의 〈네크로노미콘의 역사〉에 따르면 《네크로노미콘》의 원본은 다음 5곳에 보존되어 있다.
- 대영박물관
- 프랑스 국립도서관
- 하버드대학 위드너 도서관
-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
- 미스캐토닉대학 도서관: 매사추세츠주 아캄의 가상의 대학.
미스캐토닉대학 도서관은 17세기 에스파냐에서 출간된 올라우스 보르미우스의 라틴어본을 소장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사본들은 여러 개인들의 비밀 소장품으로 되어 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1%AC%EB%A1%9C%EB%85%B8%EB%AF%B8%EC%BD%98
요한일서 3:1-10
1 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주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얻게 하셨는고, 우리가 그러하도다 그러므로 세상이 우리를 알지 못함은 그를 알지 못함이니라
2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내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계신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
3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
4 죄를 짓는 자마다 불법을 행하나니 죄는 불법이라
5 그가 우리 죄를 없이 하려고 나타내신바 된 것을 너희가 아나니 그에게는 죄가 없느니라
6 그 안에 거하는 자마다 범죄하지 아니하나니 범죄하는 자마다 그를 보지도 못하였고 그를 알지도 못하였느니라
7 자녀들아 아무도 너희를 미혹하지 못하게 하라 의를 행하는 자는 그의 의로우심과 같이 의롭고
8 죄를 짓는 자는 마귀에게 속하나니 마귀는 처음부터 범죄함이니라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니라
9 하나님께로서 난 자마다 죄를 짓지 아니하나니 이는 하나님의 씨가 그의 속에 거함이요 저도 범죄치 못하는 것은 하나님께로서 났음이라
10 이러므로 하나님의 자녀들과 마귀의 자녀들이 나타나나니 무릇 의를 행치 아니하는 자나 또는 그 형제를 사랑치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하지 아니하니라
의 – 길과 진리와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주인과 구원자로서 인격적으로 알고 사랑하고 신뢰하고 순종하는 삶
야고보서 4:6-8
6 그러나 더욱 큰 은혜를 주시나니 그러므로 일렀으되 하나님이 교만한 자를 물리치시고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주신다 하였느니라
7 그런즉 너희는 하나님께 순복할찌어다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피하리라
8 하나님을 가까이 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가까이 하시리라 죄인들아 손을 깨끗이 하라 두 마음을 품은 자들아 마음을 성결케 하라
요한일서 4:4 자녀들아 너희는 하나님께 속하였고 또 저희를 이기었나니 이는 너희 안에 계신 이가 세상에 있는 이보다 크심이라
사망과 음부의 열쇠를 가지신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주인과 구원자로 모시고 순복하며 가까이 하는 자만 악령으로부터 보호받으며 대적하여 이길 수 있습니다.